[정보] 2025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부의 6대 사업
정부가 '제24차 일자리 TF 회의' 개최하면서 취업단계별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선정한 자료를 토대로 정리해 봤어요!
전반적인 개요라서 조금 막연하다는 생각이 들어 정리했는데 그래도 막연하네요.ㅠㅠ
구체적인 정확한 사항은 각 지원센터에 들어가서 확인해 봐야될듯 싶어요.
재학, 구직, 재직 단계별 지원 방안
1. 청년 일자리 사업 개요
목표: 청년 일자리 확대 및 지원
대상: 재학 중인 청년, 구직 청년, 재직 청년
예산: 2조 4564억 원
2. 재학 중 청년 지원
사업: 청년고용올케어 플랫폼(학생정보-고용정보 연계 기반 미취업 졸업생을 발굴·지원)
대학일자리 플러스센터(상반기: 미취업 청년 11만명 대상으로 우선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반기: 국가장학금 신청자 약 140만명의 정보제공 동의 기반하에 정보연계 전산망을 구축해 미취업 졸업생을 체계적으로 발굴·지원)
목표: 미취업 졸업생 발굴 및 지원
예산: 미래내일 일경험에 2141억 원 투입
확대 계획: 올해 네이버·카카오·현대차 등 청년층 선호 기업이 새로 참여하고, AI 등 청년층 선호 직무 확대, 취약청년 대상 특화 프로그램 운영, 학점연계형, 메타버스 등 일경험 유형·방식의 다양화 추진 및 K-디지털 트레이닝- AI 등 첨단산업 분야 역량 확대 (KT·삼성 등 민간 선도기업 혁신훈련을 디지털 분야에서 AI·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로 확대하고, AI 현장형 실무인재 양성과정도 신설)
3. '구직·쉬었음' 청년 및 취약 청년 지원
사업: 청년도전지원사업, 국민취업지원제도
목표: 장기 쉬었음 청년 발굴 및 지원
프로그램: 부모교실, 또래지원단 신설 (부모·친구가 주변의 구직단념 등 취약청년 발굴하고 취업지원 사업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프로그램)
예산: 국민취업지원제도에 4900억 원 투입
4. 재직 중 청년 지원
목표: 제조·건설업 등 빈 일자리 업종 지원
지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최대 480만 원
추가 계획: 중소기업과 청년 간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
5. 고용 상황 및 대응
현황: 청년 고용 둔화, 내수 회복 지연
대응: 청년층 체감 고용상황 개선을 위한 사업 추진
핫라인: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 운영 및 정례회의 계획
6. 결론 및 향후 계획
목표: 취약계층 고용·소득 안정
성과: 1분기 기준 110만 8000명 채용 실적
계획: 상반기 목표 120만명 초과 달성
7. 문의처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 044-215-8530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총괄과: 044-215-7212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 044-215-7423
<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